본문 바로가기

형제복지원 사건 35년 만의 국가배상 - 1980년대 부산 인권침해 진실

도투라밍 2025. 8. 17.
반응형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부산 형제복지원에서 벌어진 국가 주도 인권침해 사건의 전말과 35년 만에 이뤄진 국가배상 판결, 그리고 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를 통한 재조명까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부산 형제복지원 brothers welfare facility 인권침해 사건

1980년대 대한민국 경제성장 이면에 숨겨진 어둠의 역사가 있습니다.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은 513명이 사망한 국가 주도 인권침해의 대표 사례입니다.

12년간 부랑인 수용시설이라는 명목으로 운영된 이곳에서 벌어진 강제감금, 폭행, 성폭력의 실상이 35년 만에 법정에서 인정받았습니다. 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질 이 사건의 진실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부산 형제복지원이란

부산 형제복지원은 1975년 내무부훈령 410호에 따라 부산 주례동에 설립된 국내 최대 부랑인 수용시설입니다. 설립자 박인근이 부산시와 계약을 맺고 운영했던 이 시설은 겉으로는 사회복지시설이었지만 실제로는 강제수용소였습니다.

높은 담장과 철문으로 외부와 차단된 이곳은 한 번 들어가면 나올 수 없는 감옥이었습니다. 부랑인뿐 아니라 길거리에서 단속된 어린이, 장애인, 신분증이 없던 시민까지 무차별적으로 끌려왔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침해 신고 정보 확인하기

513명 사망한 인권침해 실상

형제복지원 내부는 군대식 위계 구조로 운영되었습니다. 입소와 동시에 국민교육헌장과 찬송가를 강제로 외우게 했으며 매주 예배 참석이 의무였습니다.

규율을 어기거나 작업량을 채우지 못하면 무자비한 구타가 뒤따랐습니다. 탈출을 시도하면 잔혹한 보복이 있었습니다.

12년간 최소 513명이 사망했고 일부 시신은 몰래 암매장되거나 해부용으로 팔려나갔습니다. 성폭력도 광범위했으며 여성과 소년 피해자가 많았습니다.

형제복지원 동영상 보러가기

1987년 집단탈출과 사건 폭로

1987년 3월 한 원생이 구타로 사망하자 35명이 집단 탈출했습니다. 이들의 증언으로 세상에 참상이 드러났습니다.

부산지검 김용원 검사가 박인근 원장 등 간부 5명을 특수감금치사 등으로 기소했습니다. 야당 진상조사단이 강제입소, 폭행, 시신 은폐 등을 밝혀냈습니다.

그러나 당시 군사정권 하에서 사건은 축소되었습니다. 검찰 지휘부의 외압이 있었고 재판 과정에서 특수감금 혐의는 무죄로 뒤집혔습니다.

부산광역시 시민신고 및 민원접수

35년 만의 국가배상 판결

오랜 침묵은 2012년 한 생존자의 국회 앞 1인 시위로 깨졌습니다. 피해자 모임이 결성되고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사건을 국가 주도의 심각한 인권침해로 규정했습니다.

2022년 진실화해위원회가 국가의 부당한 공권력 행사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피해자 명예회복과 배상을 권고했습니다.

2023년 1심 법원이 국가배상 책임을 인정했고 2025년 3월 대법원 확정 판결로 피해자 13명이 마침내 국가로부터 배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 재조명

형제복지원 사건은 2025년 8월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생존자다에서 다뤄집니다. JMS, 지존파, 삼풍백화점 참사와 함께 한 회차를 차지합니다.

BBC 코리아, YTN, KBS 등에서 피해자 증언을 다뤘고 부산일보는 살아남은 형제들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연극 집으로 돌아가는 길과 다큐 영화 살아남은 아이들도 제작되었습니다.

전 세계 시청자들이 이 사건의 실상을 접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나는 생존자다 영상 보러가기

잊지 않아야 할 교훈

형제복지원 사건은 흘러간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국가가 법과 제도를 빌미로 약자를 억압했을 때 어떤 비극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입니다.

35년 만에 피해자들이 법적 배상을 받았지만 여전히 특별법 제정과 전면적 진상 규명은 남은 과제입니다. 이 사건을 기억하고 알리는 것은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책임입니다.

주요 연표

  • 1975년: 내무부훈령 410호 발령, 형제복지원 부랑인 수용 시작
  • 1987년: 집단 탈출 사건, 형제복지원 강제 폐쇄
  • 1989년: 대법원 특수감금 무죄 확정, 횡령만 유죄
  • 2012년: 피해자 국회 1인 시위 시작
  • 2017년: 국가인권위 특별법 제정 권고
  • 2022년: 진실화해위 국가폭력 인권침해 공식 인정
  • 2025년: 대법원 국가배상 확정 판결

반응형

댓글